메인화면으로
이름
이메일
뉴스레터 수신받겠습니다.
  

Issue_ 주목! 이 행사


2016년 12월
2016.12.30
근대무용가 최승희의 춤과 한국춤의 국제성 - 'Sound and Motion of Korea'와 '무용역사기록학회 제18회 학술심포지엄'에 대한 후기

 무용역사기록학회(공동회장 김운미, 조기숙)에서 개최하는 심포지엄에 초청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행사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점은 공연 실연과 학술발표 그리고 토론회를 통합하고자 시도한 주최측의 노고이다. 불교의식무용, 궁중무용, 기생춤 등의 한국전통춤을 프리젠테이션 'Sound and Motion of Korea'와 국립무용단 및 서울세계무용축제의 컨템포러리댄스 관람을 아우르며, 현대 한국의 풍요롭고 다양한 춤문화를 엿볼 수 있게 해주었다.


 이번 일정 전에도 몇몇 한국의 현대무용을 본적이 있으나 내게 가장 인상적으로 다가온 것은 한국 무용수들의 훈련과 공연이 발레의 지대한 영향을 받았다는 점이다. 이는 무용수들이 동작을 수행할 때 고도의 정밀성과 놀라운 속도 감각을 가지게 한다. 그러나 발레의 영향은 특히 그것이 전통춤의 기술이나 요소들과 통합되었을 때에는 양날의 검처럼 보였다. 한편으로 이것은 한국 전통춤의 특징인 몸통과 팔의 섬세한 유동성과 완벽하게 맞아 떨어진다. 반면, 이로 인해 기생춤과 같은 한국 전통춤에서 볼 수 있는 복잡한 무게감각을 현저하게 약화시킨다. 이 무게 감각은 무용수의 신체에서 경이로운 에너지의 순환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가장 매력적이었던 사례는 국립무용단의 <묵향>공연이었는데, 이 공연에서 여성 무용수들은 낭만 발레의 뛰어난 무용수들을 떠올리게 할 정도로 무게 중심을 위로 둔 채로 춤을 추었다.


 이번 심포지엄은 전설적인 무용수인 최승희의 유산에 헌정되었다. 다양한 국가들로부터 온 학자들이 각자의 관점으로 상이한 맥락에서 이루어진 최승희에 대한 연구를 발표하는 것을 들을 수 있는 귀한 기회였다. 멕시코의 정치사학자 알프레도 로메로 카스킬라 교수가 최승희의 남아메리카 순회공연에 대해 발표한 논문은 놀라웠다. 그는 최승희 공연에 대한 현지 비평가들의 반응들을 추적했을 뿐 아니라 최승희의 춤을 1940년대 초 멕시코의 모던 댄스의 급격한 발전에 관련시켜 논의하기도 했다. 이 논문은 최승희의 국제적인 경력에 대한 역사적 기록의 중요한 공백을 메워주었다. 그리고 한국춤의 저명하고 존경받는 민족무용학자인 주디 반 자일 교수는 최승희에 대한 그의 장기적 연구의 결과를 발표하였고,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춤 전반의 현대성에 관한 복잡한 성격을 설득력 있게 밝혀주었다.


 심포지엄에서 특별히 흥미로웠고 유용했던 행사는 둘째날 아침에 진행되었다. 연변대학교 무용과 교수진과 김백봉춤보전회의 합동 시연회는 최승희로부터 큰 영향을 받은 북한과 대한민국, 그리고 중국 동북부의 한민족 춤을 색다르게 해석하여 보여주었다. 이들의 시연은 한국무용의 훈련에 있어서 최승희의 교육적 유산을 즉각적으로 이해시켜주었다.

 전체적으로 이번 심포지엄은 주최측의 지대한 노력과 헌신으로 조직되었다.
 공식적인 논문 발표와 라운드테이블 토론들에서 나아가 참가자들 사이의 비교문화/다문화적 대화들을 위한 훌륭한 기회를 제공해주었다.


글_ 첸 야핑(타이페이예술대학 교수)
번역_ 기자 심온(서울대 미학 석사과정)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61개(1/4페이지)
ISSUE
발행월 제목
2020년 5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춤 공동체는 어떻게 공존할 것인가? (1): 전미무용교육협회(National Dance Education Organization, NDEO)의 온라인 무용교육 지침
2020년 5월 한국무용과 현대무용 그리고 스트릿 댄스의 미적 사유
2019년 6월 완벽하지 않음과 완벽함을 오가는 인간의 딜레마 -
<완벽하지 않은 완벽함(Imperfectly Perfect)> 안무가 허용순
2019년 2월 무용계의 뜨거운 감자, 무용저작권의 이해와 개선의 필요성 :
무용역사기록학회의 ‘한국 무용저작권의 쟁점과 개선 방안’을 위한 포럼
2019년 2월 여전히 안녕한 블랙리스트
2019년 1월 여성에 대한 일반의 통념에 정지버튼을 누르고 싶었다
- [ Nutcrusher ]로 돌아온 현대무용가 허성임과의 인터뷰
2018년 12월 완도에서 겪은 생태예술(EcoArt) 이야기와 가치 있는 보전에 대한 느낌
2018년 10월 국립무용센터 건립 추진단 지역 간담회에 붙여
- 국립무용센터 건립 추진을 보는 지역의 시선 하나.
2018년 9월 시대와 사회를 통해 본 춤에 대한 학제적 관점
- 제20회 무용역사기록학회 국제학술심포지엄 총평
2018년 8월 아메리칸 드림을 이룬 안무가 주재만
2018년 7월 ‘이팝, 신의 꽃’: 민중생활사와 소리 그리고 몸짓의 생태학
2018년 5월 이정연 안무가와 TY스튜디오 현소영, 김진태 대표
2017년 12월 코리아댄스커넥션 2017 국제포럼
2017년 12월 몸과 정신의 통합으로 일상을 혁신하다 - 펠든크라이스 메소드(Feldenkrais Method)
2017년 11월 예술가를 위한 펠든크라이스 워크샵을 마치고
2017년 9월 차이를 극복하는 무용교육의 힘 - 제 30회 국제 라반기록 협의회 학술대회(International Council of Kinetography Laban/Labanotation)
2017년 7월 판소리를 보여주기, 판소리로 실험하기 - 베를린, 파리 그리고 다른 곳에서 -
2017년 6월 국립현대무용단 안성수 예술감독이 말하는 국립현대무용단의 정체성
2017년 5월 무대 밖에서 만나는 발레 - 발레리나 〈춤추는 꽃, 발레〉
2017년 4월 무용후원으로 앙트러프러너십을 실천하는 LIG문화재단 구자훈 이사장

만드는 사람들 _ 편집주간 최해리 / 편집장 장지원 / 부편집장 윤단우 / 편집자문 김호연, 이희나, 장승헌
시각 및 이미지 자문 최영모 / 기자 김현지, 윤혜준 / 웹디자인 (주)이음스토리

www.dancepostkorea.com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 31-15 (합정동, 리츠하우스) 101호 / Tel_ 02.336.0818 / Fax_ 02.326.0818 / E-mail_ dpk0000@naver.com
Copyright(c) 2014 KDR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