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이름
이메일
뉴스레터 수신받겠습니다.
  

Issue_ 주목! 이 행사


2016년 7월
2016.08.09
미학계 최대의 학술 축제 - 제20차 세계미학자대회(International Congress of Aesthetics)
 지난 7월 25일부터 5일간, 3년마다 개최되는 국제미학회(IAA)의 정기 학술대회, 제20차 세계미학자대회(International Congress of Aesthetics, ICA)가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에서 열렸다. 성낙인 서울대 총장의 환영사 및 민주식 한국미학회장과 가오 지안핑(Gao Jianping) 국제미학회장의 개회사로 문을 연 이번 대회의 개막식에서는 오병남 서울대 명예교수와 노엘 캐럴 미국 뉴욕시립대 석좌교수가 기조연설을 맡았다. 이번 대회에 맞추어 24일부터 2주 동안 경기 파주 아트센터 화이트블럭에서는 ‘대중문화와 현대미술’을 주제로 특별전시가 열렸으며, 서울대 교내에서의 재즈 공연과 현대 한국영화 상연 행사도 함께 마련되어 이목을 끌었다.

 ‘미학과 대중문화’를 주제로 하는 이번 대회는 ‘대중문화 시대 예술 이론의 쟁점들’, ‘뉴미디어, 디자인, 미학’, ‘신체와 스포츠의 미학’, ‘미학사에 대한 성찰’, ‘예술의 인식적·윤리적·정치적 가치’, ‘미학에 대한 과학적 관점’, ‘상상과 감정’, ‘환경과 생태학의 미학’, ‘개별 예술 장르의 미학과 이론’, ‘아시아 전통 미학과 예술 이론’이라는 열 가지의 세부 주제를 총망라하였고, 한국, 미국, 일본, 프랑스, 캐나다 등 37개국 연구자 300여 명의 논문이 81개의 세션을 통해 발표되었다.


 이 중 네 번째 날인 목요일에는 이도흠, 최재우, 김영동, 임재해, 최해리, 박미경 다섯 명의 연구자가 ‘제국주의 이후 아시아 지역의 미학’을 주제로 각각 문학, 극, 미술, 민속학, 무용, 전통음악에 대하여 발표하였다. 특히 무용인류학자이자 한국춤문화자료원 공동대표인 최해리는 ‘한국 안무에서 인터내셔널리즘의 새김: 근대화 이후 한국무용가들의 민족성 표현 방식에 대한 추적’이라는 제목 아래 근대화 이후의 한국 민족무용에 대해 발표하였다.

 특히 그는 일제강점기 ‘조선무용’과 대한민국 재건시기*에 활동했던 ‘한국무용’의 주요 안무가들을 중심으로 안무 방식과 민족성의 기표로 활용되었던 전통예술의 수용방식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일제강점기와 냉전으로 인한 분단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내면화한 시기의 민족무용에 대해 재고함으로써 식민주의와 냉전의식을 극복해나가야 함을 역설하였다.
*이 용어는 이하나의 『‘대한민국’, 재건의 시대(1948~1968)』(푸른역사, 2013)을 참조.

 이번 대회는 29일 국제미학회 컨벤션과 송별 식사를 끝으로 막을 내렸다. 미학사적 전통부터 뉴미디어 분야를 아우르는 발표가 이루어졌던 만큼 이번 대회는 각국 연구자들의 공통 관심사를 확인하고 나아가 한국 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글_ 인턴기자 안수진(서울대 미학 석사과정)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61개(1/4페이지)
ISSUE
발행월 제목
2020년 5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춤 공동체는 어떻게 공존할 것인가? (1): 전미무용교육협회(National Dance Education Organization, NDEO)의 온라인 무용교육 지침
2020년 5월 한국무용과 현대무용 그리고 스트릿 댄스의 미적 사유
2019년 6월 완벽하지 않음과 완벽함을 오가는 인간의 딜레마 -
<완벽하지 않은 완벽함(Imperfectly Perfect)> 안무가 허용순
2019년 2월 무용계의 뜨거운 감자, 무용저작권의 이해와 개선의 필요성 :
무용역사기록학회의 ‘한국 무용저작권의 쟁점과 개선 방안’을 위한 포럼
2019년 2월 여전히 안녕한 블랙리스트
2019년 1월 여성에 대한 일반의 통념에 정지버튼을 누르고 싶었다
- [ Nutcrusher ]로 돌아온 현대무용가 허성임과의 인터뷰
2018년 12월 완도에서 겪은 생태예술(EcoArt) 이야기와 가치 있는 보전에 대한 느낌
2018년 10월 국립무용센터 건립 추진단 지역 간담회에 붙여
- 국립무용센터 건립 추진을 보는 지역의 시선 하나.
2018년 9월 시대와 사회를 통해 본 춤에 대한 학제적 관점
- 제20회 무용역사기록학회 국제학술심포지엄 총평
2018년 8월 아메리칸 드림을 이룬 안무가 주재만
2018년 7월 ‘이팝, 신의 꽃’: 민중생활사와 소리 그리고 몸짓의 생태학
2018년 5월 이정연 안무가와 TY스튜디오 현소영, 김진태 대표
2017년 12월 코리아댄스커넥션 2017 국제포럼
2017년 12월 몸과 정신의 통합으로 일상을 혁신하다 - 펠든크라이스 메소드(Feldenkrais Method)
2017년 11월 예술가를 위한 펠든크라이스 워크샵을 마치고
2017년 9월 차이를 극복하는 무용교육의 힘 - 제 30회 국제 라반기록 협의회 학술대회(International Council of Kinetography Laban/Labanotation)
2017년 7월 판소리를 보여주기, 판소리로 실험하기 - 베를린, 파리 그리고 다른 곳에서 -
2017년 6월 국립현대무용단 안성수 예술감독이 말하는 국립현대무용단의 정체성
2017년 5월 무대 밖에서 만나는 발레 - 발레리나 〈춤추는 꽃, 발레〉
2017년 4월 무용후원으로 앙트러프러너십을 실천하는 LIG문화재단 구자훈 이사장

만드는 사람들 _ 편집주간 최해리 / 편집장 장지원 / 부편집장 윤단우 / 편집자문 김호연, 이희나, 장승헌
시각 및 이미지 자문 최영모 / 기자 김현지, 윤혜준 / 웹디자인 (주)이음스토리

www.dancepostkorea.com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 31-15 (합정동, 리츠하우스) 101호 / Tel_ 02.336.0818 / Fax_ 02.326.0818 / E-mail_ dpk0000@naver.com
Copyright(c) 2014 KDRC